운동과 열량
- 생리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체의 움직임에 대한 용어는 그 목적과 방법에 따라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 운동 (physical exercise), 체육(physical education) 등으로 제시된다.
- 건강의 개념은 시대적 배경과 요구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 의식주를 자신의 신체적 능력만으로 해결해야 했던 원시시대에는 건강한 완전한 신체의 상태로 이해하였으며, 중세사회에서는 신체와 정신이 완전한 상태, 현대에서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상태로 건강의 이미를 확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 운동부족은 신체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하고 기능을 저하시킴으로써 각종 질병을 유발하며, 영양 섭취는 증가된 반면에 신체활동 부족으로 인하여 유발하는 비만은 성인병 유발의 주된 원인으로 현대인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있다. 규칙적인 운동은 현대 생활에서 건강을 위협하는 운동부족, 정신적 스트레스, 비만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현대인들의 건강 유지 및 증진에 필수적인 수단이다.
체중감소 운동
- 기원전 2세기 경부터 사용되어온 용어로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가 근력강화, 체력회복, 정신력 향상 등의 목적으로 치료 의학적인 측면에서 사용. 현재 운동은 신체활동의 한 범주로 체력을 유지 · 향상시키기 위하여 계획적으로 반복 수행되는 구조화된 활동을 의미
- 휄니스의 개념은 체적 영역, 지적영역, 정서적 영역, 사회적 영역, 저신적 영역 등 5개 영역이 상호 의존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 웰니스 개념의 건강 관리는 생활 방식의 선택과 실천에 의하여 건강이 결정된다는 사실을 자각하는 순간에서부터 출발되며, 이러한 인식을 기초로 자신의 상태와 생활 방식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과정을 통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건강에 도달할 수 있다.
- 이러한 과정에서 웰니스에 대한 지식, 관리 기술, 동기, 주위의 지지 등이 영향을 미치게 되며, 건강을 증진시키는 생활 방식을 선택하고 실천하는 일이 자신의 책임이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도 중요하다.
운동의 종류
- 운동은 에너지 대사과정에 있어서의 차이에 따라 유산소 운동(aerobic exercise)과 무산소 운동(anaerobic exercise) 으로 나누어 지며, 또한 그 성격에 따라 스포츠 경기(athletics), 신체적 레크리에이션(physical recreation), 건강운동(health exercise) 등으로 구분된다.
- 스포츠 경기, 신체적 레크리에이션, 건강운동
- 운동은 그 성격에 따라 스포츠 경기(athletics), 신체적 레크리에이션(physical recreation), 건강운동(health exercise)의 3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 운동이 체력과 건강증진에 가장 효과적인 행동인 것은 사실이나 아무렇게나 하는 무계획적, 비합리적, 비과학적인 운동은 오히려 건강을 손상시 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운동을 제대로 이해하고 실행함으로써 소기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 인간의 운동은 신체적 움직임을 의미 하지만 인간의 활동능력을 높이기 위한 운동은 그 성격에 따라 스포츠 경기(athletics) ,신체적 레크리에이 션(physical recreation), 건강운동(health exercise) 의 3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
- ATP 생산과정에서의 산소 필요 유무에 따라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으로 구분
- 호흡, 체온조절, 대사 등 인체의 기본적인 활동 및 격렬한 움직임에는 에너지의 동원이 수반된다. 지구상의 모든 에너지의 근원은 태양이며, 신체의 움직임에 요구되는 에너지는 ATP(adenosine triphosphate)이다.
- 인체 내의 ATP 생산과정은 그 과정에서의 산소 필요 유무에 따라 무산소성 에너지 대사과정과 유산소성 에너지 대사과정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무산소성 에너지 대사과정을 통해 생산된 ATP를 주로 사용하는 운동을 무산소성 운동, 이에 반해 유산소성 에너지 대사과정을 통해 생산된 ATP를 주로 사용하는 운동을 유산소성 운동이라 한다. 특히 체내의 지방은 유산소성 에너지 대사과정을 통해 ATP를 생산함으로 비만 치료를 목적으로 운동을 하고자 하는 대상자에게는 유산소성 운동이 추천된다.
- 조깅, 수영, 건강체조, 자전거, 에어로빅 댄스 등 비교적 장시간 중정도 이하의 강도로 수행되는 운동은 주로 유산소성 에너지 대사과정을 통해서 생산된 ATP를 사용함으로 유산소성 운동으로, 단거리달리기, 역도 및 근력운동 등 비교적 단시간 고강도로 수행되는 운동은 주로 무산소성 에너지 대사과정을 통해서 생산된 ATP를 사용함으로 무산소성 운동으로 분류된다.
- 대부분의 운동에서 전적으로 무산소성 에너지 대사과정을 통해서 생산된 ATP를 사용한다거나 또는 전적으로 유산소성 에너지 대사과정을 통해서 생산된 ATP를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일례로 10초 정도 전력을 다해 수행되는 고강도 운동시 무산소성 에너지 대사과정을 통해서 생산된 ATP와 유산소성 에너지 대사과정을 통해서 생산된 ATP가 사용되는 비율은 약 90:10, 반대로 2시간 정도 수행되는 중강도의 운동시에는 무산소성 에너지 대사과정을 통해서 생산된 ATP와 유산소성 에너지 대사과정을 통해서 생산된 ATP가 사용되는 비율은 약 1:99로 알려져 있다. 운동 종목에 있어서도 축구(soccer) 경기 한 경기 전체에서 무산소성 에너지 대사과정을 통해서 생산된 ATP와 유산소성 에너지 대사과정을 통해서 생산된 ATP가 사용되는 비율은 약 70:30이다.
- 스포츠 경기
- 고도로 조직화된 게임을 경쟁적으로 수행하는 운동으로서 그 종목이 다양하고 고도의 운동기술과 운동능력을 요구한다.
- 신체적 레크리에이션
- 일상생활 중에 누적된 피로나 정신적 긴장을 이완시키려는 활동으로 정신적으로 즐거움을 맛볼 수 있는 종목을 택하기 때문에 그 활동이 때로는 신체적인 부담이 과중하거나 또는 전혀 운동으로서 자극이 되지 못하기도 한다.
- 건강운동
- 인체가 요구하는 운동자극을 의도적, 계량적 및 반복적으로 줌으로써 인체의 생리적 기능과 체력을 높이려는 활동으로 개개인에 적합한 운동자극을 주기 위하여 다각적으로 연구된 운동프로그램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 정보관리 담당자
- 담당부서 : 건강증진과
- 전화번호 : 032-880-5425
- 최종수정일 : 2022-11-17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만족스러우신가요? 평가에 참여하시면 누리집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