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암 환자나 암 생존자들은 다양한 유형의 암으로 인한 통증(암성 통증)을 느낄 수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보건복지부의 암성 통증 관리지침 권고안에 따르면 암을 경험했던 환자의 60% 이상은 암성 통증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성 통증은 침해성 통증(Nociceptive Pain)과 신경병증 통증(Neuropathic Pain)으로 나뉜다. 침해성 통증은 암이 진행하면서 암세포가 있는 장기의 손상으로 침해수용체가 자극을 받아 주변 부위에 발생하는 통증이다. 신경병증 통증은 뇌와 척수를 총칭하는 중추신경계와 팔, 다리로 내려가는 말초신경계의 손상으로 발현된다.

통증은 지속 통증과 돌발 통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속 통증은 항상 일정 강도로 느껴지는 통증이며, 돌발 통증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심한 통증을 일컫는다. 의료진은 통증의 원인이나 강도에 따라 마약성 진통제, 비마약성 진통제, 보조 진통제 등을 처방한다. 암성 통증은 대부분 치료를 통해 개선된다. 하지만 환자들이 진통제에 중독되거나 부작용을 두려워하는 탓에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 통증에 대한 표현이 어려워 의료진과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뤄지지 못하는 점도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다. 특히 통증 치료 과정에서 사용되는 진통제에 대한 환자들의 우려도 치료의 방해 요소다. 환자들이 마약성 진통제 중독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마약성 진통제에 중독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마약성 진통제는 의료진의 처방에 따라 저용량으로 시작해 투여량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마약성 진통제를 평생 사용하지 않고, 용량이나 강도를 지속적으로 올리지 않는 데다 통증 조절에 성공하면 약을 줄이고 중단할 수 있는 것이다.

암성 통증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표현이다. 환자와 의료진 사이에 통증에 대한 의사소통이 잘 이뤄져야 통증 감소를 위한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다. 환자가 통증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면, 평가를 통한 통증 완화 조치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더욱이 암성 통증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진통제 대부분은 건강 보험을 적용받아 비용 부담이 크지 않다. 마취통증의학과에서 시행되는 신경차단술도 보험이 적용되며 암으로 인한 통증이므로 암 환자에게 적용되는 산정특례 혜택도 받을 수 있다. 환자가 통증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삶에 대한 의지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환자가 통증에 대한 의료진의 질문에 정확히 표현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치료의 시작이다. 환자 스스로 판단하고 조절해 통증 치료를 하지 말고, 의료진과 상담해 정확한 평가와 조치를 받아야 한다.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 및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가능

* 본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이 가능합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만족스러우신가요? 평가에 참여하시면 누리집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닫기
추천 기사
  1. 우리 동네 미추 자원순환가게
  2. 미추홀구의회
  3. 안전운전 약속하고, 착한운전 마일리지 받으세요
  4. 즐거운 가을 산행을 위한 국민안전 행동요령
  5. 신구新舊를 아우르는 미추홀구 마을 축제
  • 구정종합
  • 의정소식
  • 복지/건강/생활
  • 문화/교육/인물
  • 칼럼/기고
  • PDF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