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니페스토는 출마자가 유권자에게 공약을 책임 있게 약속하고,
유권자들은 출마자가 약속을 잘 지키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평가하는 운동을 말합니다.
1834년 보수당 당수이었던 로버트 필(Robert Peel)이 '유권자들의 환심을 사기 위한 공약은 결국 실패하기 마련'이라면서 구체화된 공약의 필요성을 강조한 데 기원을 두고 있으며 이후 1997년에는 영국 노동당의 토니 블레어가 매니페스토 10대 정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데 힘입어 집권 성공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습니다.
1998년 통일지방 선거 때 처음으로 매니페스토가 등장하였으나 선거전 매니페스토의 배부는 선거법 위반으로 간주된 후 2003년 공직선거법을 개정하여 총선에서 각 정당이 매니페스토를 작성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가나가와현[神奈川縣]의 지사 선거에서 마쓰자와 시게 후미(松澤成文) 후보가 매니페스토 37가지를 공표해 당선됨으로써 주목받고 있습니다. 학계 등 전문가 집단이 수시로 검증과 평가 작업을 벌여 유권자들의 판단을 돕고 있으며 후보자와 유권자가 '부탁'이 아닌 '약속'과 '계약'으로 맺어지는 새로운 선거 문화를 정착하였습니다.
신용을 가장 중요시하는 사회적 약속을 기반으로 상호 계약을 합리적 토론을 통해 문서화하고 상호 계약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사회적 질타를 받아 매니페스토 운동이 정착되기에 좋은 사회적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1994년 의회 선거 때 공화당 하원의장이었던 뉴트 깅그리치는 '미국과의 계약'이라는 이름으로 10개의 정책을 발표하여 국민에게 제시했고 크게 성공을 거둬 40년 만에 하원에서 다수를 차지함으로써 미국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매니페스토로 꼽히고 있습니다.